코딩/Java
자바(JAVA) 문자타입, String 타입, 실수 타입, 논리 타입
숲속의 움비
2021. 1. 24. 21:30
반응형
문자 타입
자바에서 문자형 데이터란 작은 정수나 문자 하나를 표현할 수 있는 타입을 의미한다.
1. char
컴퓨터는 2진수밖에 인식하지 못하므로 문자도 숫자로 표현해야 인식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어떤 문자를 어떤 숫자에 대응시킬 것인가에 대한 약속이 필요합니다.
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| public class example1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char ch1 = 'A'; char ch2 = 65; int ch3 = 65; System.out.println(ch1); System.out.println(ch2); System.out.println(ch3); char ch4 = '金'; System.out.println(ch4); int ch5 = ch4; System.out.println(ch5); } } | cs |
출력 값 : ch1 = A
ch2 = A
ch3 = 金
ch4 = 37329
String 타입
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| public class example1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String name = "홍길동"; System.out.println(name); name = "\"홍길동\""; System.out.println(name); name = "\\n홍길동\\n"; System.out.println(name); name = "\t홍길동\t이만큼"; System.out.println(name); name = "\\t홍길동\\t"; System.out.println(name); System.out.println( 2 + "3"); } } | cs |
출력 값 : 홍길동
"홍길동"
\n홍길동\n
홍길동 이만큼
\t홍길동\t
23
- String 타입은 일반적으로 new 없이 사용한다.
- 이스케이프 문자는 컴퓨터와 주변 기기의 상태를 바꾸는 데에 쓰이는 일련의 문자열이다.
실수 타입
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| public class example1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// 실수값 저장 // float var1 = 3.14; float var2 = 3.14f; double var3 = 3.14; // 정밀도 테스트 float var4 = 0.123456767890123456789f; double var5 = 0.1234567890123456789; System.out.println("var2 : " + var2); System.out.println("var3 : " + var3); System.out.println("var4 : " + var4); System.out.println("var5 : " + var5); } } | cs |
출력 값 :
var3 : 3.14
var4 : 0.12345677
var5 : 0.12345678901234568
- 정수나 실수 모두 개수가 무한대이므로 컴퓨터에 저장할 수 없다.
정수 타입 : 크기에 따라 표현 범위가 다르다.
일정범위 : (예를 들어 -100 ~100)로 잘라 그 범위의 값을 저장한다.
실수 타입 : 크기에 따라 정밀도가 다르다.
논리타입
논리는 참이나 거짓중 한 가지 값만을 가질 수 있는 boolean 타입을 의미합니다.
1 2 3 4 5 6 7 8 9 10 | public class example1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boolean stop = true; if (stop) { System.out.println("중지합니다."); } else { System.out.println("시작합니다."); } } } | cs |
반응형